Learning state1 [Network] Spanning Tree Protocol(STP) #2 개인적으로 네트워크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함께 공부하자는 취지로 내용을 공유합니다. 포트의 역할이 할당되고 나서 맡은 역할로 변경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함 즉 스위치가 켜지고 나서 POST(Power on self test)를 거치고, 여러 스위치와 연결되며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활성화된 후, 포트의 역할을 결정하며 해당 역할로 나아가기 위해 포트는 몇 가지의 상태 변화를 겪게 됨 루트 포트 / 지정 포트처럼 BPDU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포트로 결정되었다고 해서 즉각적으로 포트가 '전송'의 역할을 맡는 것이 아니고, BPDU만을 받는 블락 포트로 결정되었다고 해서 즉시 '차단'의 역할을 맡는 것이 아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내 브로드캐스트 폭풍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 2023. 7.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