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ipv4.tcp_tw_reuse2 [Linux] TIME_WAIT가 많을 때 파라미터 설정방법 서버를 운영하다가 TIME_WAIT가 많이 발생할 때는 아래와 같은 파라미터 설정이 도움이 됩니다. vim /etc/sysctl.conf # TIME_WAIT가 많을 때 net.ipv4.ip_local_port_range = 10240 65535 net.ipv4.tcp_timestamps = 1 net.ipv4.tcp_tw_reuse = 1 net.ipv4.tcp_fin_timeout = 10 # TCP : time wait bucket table overflow error net.ipv4.tcp_max_tw_buckets = 524288 1. netipv4.ip_local_port_range 로컬 포트 범위 설정 기본값 : 32768 60999 2. net.ipv4.tcp_timestamps 네트워크 .. 2021. 6. 14. [RHEL 공통]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스가 많을 때 네트워크 파라미터 튜닝하기 서버를 운영하다가 보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스가 1000개 이상을 초과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서비스 제공에 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대부분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아래와 같이 체크할 것입니다. TCP : # netstat -napt | wc -l UDP : # netstat -napu | wc -l Network Service Process : #netstat -lptuo Network WAIT Process Count : #netstat -anpo | grep "WAIT" | wc -l Network WAiT Process : #netstat -anpo | grep "WAIT" | wc -l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체크했을 때 사용하는 프로세스 수가 많거나 TIME_WAIT가 많이 발생한다면.. 2020. 10.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