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찬이 아빠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80

[RHEL 공통] SWAP 메모리 초기화 방법 SWAP 메모리 초기화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이용합니다. 1. SWAP 메모리 사용 중지(SWAP 메모리 사용 중지 시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swapoff -a 2. SWAP 메모리 사용 # swapon -a 3. SWAP 메모리 사용 용량 확인 # free -m 2019. 11. 25.
[RHEL 공통] telnet으로 smtp 메일 발송 테스트 telnet을 이용하여 smtp 메일 발송 테스트는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1.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telnet 메일서버 25 2. HELO 메일서버를 입력합니다. # helo 메일서버 3. 메일을 보낸 사람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 mail from: 보내는 사람 메일 주소 4. 받을 사람 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 rcpt to: 받을 사람 메일 주소 5. data를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 data 6. 메일 내용을 입력합니다. 메일 제목은 subject: 로 입력하며 메일을 끝내려면 .을 입력합니다. # subject: 테스트 메일 테스트 메일입니다. 7. quit를 입력하여 메일을 종료합니다. # quit gmail 또는 네이버 메일에 테스틑 또는 test 등으로 메일을.. 2019. 11. 25.
[Application] HTTP1.1 304 Not Modifie 에러 출력 및 브라우저에 흰화면 출력 HTTP1.1 304 Not Modifie 라는 에러가 나타나면서 브라우저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특정 파일에서 캐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HTTP1.1 3.04 Not Modifie와 같은 메시지가 뜰 경우 해당 파일의 HEA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 캐시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1. HTML 파일 1 2 3 4 5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2. JSP 파일 1 2 3 4 5 6 7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3. PHP 파일 1 2 3 4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4. ASP 파일 1 2 3 4 5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5. Strut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stru.. 2019. 11. 25.
[RHEL 공통] 파일을 삭제 후 df로 체크시 실제 용량보다 많이 표현됨 /CLOUD 디렉터리의 사용량이 높아 로그 파일을 백업 후 로그 파일을 삭제하였습니다. 그후 df와 du로 /CLOUD 디렉터리의 용량을 확인햇는데 df에서 체크되는 용량이 du로 체크한 용량보다 상당히 많이 출력됩니다. 이런 경우는 파일 삭제를 하엿으나 해당 파일을 잡고 있는 프로세스가 있어 파일이 열려잇는 경우 대부분 발생합니다. lsof로 deleted된 파일을 검색하여 삭제한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바랍니다. # lsof | grep deleted 삭제한 파일이 나타날 경우 해당 파일의 프로세스를 kill로 강제 종료해주면 됩니다. kill로 강제 종료할 경우 해당 서비스도 종료되므로 운영중인 시스템에서 kill 시키기 전 반드시 확인 후 수행하기 바랍니다. 2019. 11. 25.
[RHEL 공통] 데이터 이관 후 원본 디렉터리와 대상 디렉터리 파일 비교 데이터 이관 후 원본 디렉터리와 대상 디렉터리의 파일 갯수가 다릅니다. 다른 파일을 찾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리눅스에서 디렉터리간 파일 비교는 diff 명령을 이용하여 체크할 수 있습니다. 원본 디렉터리를 "secure", 대상 디렉터리를 "test"로 가정합니다. # diff -rq sercure test | sort Only in secure/add: aaa.txt Only in secure/add: bbb Only in secure/add: origin_file.txt secure/add 디렉터티에 aaa.txt bbb rigin_file.txt 라는 것이 존재하며 test 디렉터리는 없다는 내용입니다. 2019. 11. 25.
[RHEL6] 시스템 log 파일을 하루 단위로 분리하여 저장 RHEL6에서 로그량이 많아 /var/log 디렉터리의 로그들을 하루 단위로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logrotate를 사용하여 /var/log에 있는 각종 로그 파일을 1일 단위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chmod 750 /etc/cron.daily/logrotate # chmod 750 /etc/cron.hourly/0anacron cron 서비스가 ON 되어 있지 않다면 서비스를 구동해 주면 됩니다. # service crond restart # chkconfig --level 3 crond on /tmp, /var/tmp, /var/cache 등에 저장된 임시 파일을 일정 주기로 자동 삭제를 하고자 한다면 아래 파일에 실행권한을 주면 됩니다. # chmod 750 /etc/cron.da.. 2019. 11. 25.
[RHEL6] echo 포트(7) 오픈 echo TCP 서비스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1. 서비스를 하고자하는 서버에서 /etc/xinetd.d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cd /etc/xinetd.d 2. echo-stream 파일을 열어 disabled = yes 라는 항목을 disabled = no 로 변경 후 정장합니다. # vim echo-stream disabled = no :wq 3. xinted 데몬을 구동 또는 재구동합니다. # service xinetd restart 4. /etc/hosts.allow 파일에 서비스할 IP/호스트명/도메인명 등을 echo 서비스를 추가합니다. # vim /etc/hosts.allow echo : xxx.xxx.xxx.xxx. hostname localhost 5. 접속하.. 2019. 11. 25.
[RHEL 공통] 쉘 스크립트에서 -gt와 -ge의 차이점 쉘 스크립트에서 비교문과 사용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 비교 -eq ( = ) : 같다 -ne ( !=) : 같지 않다 -gt ( ) : 미만 -le ( >= ) : 이하 예) /etc/hosts.deny 파일의 내용 중 ALL: 이란 단어를 검색 후 갯수를 확인하여 결과가 0과 같을 경우 참, 아닐경우 거짓 #!/bin/bash if ['cat /etc/hosts.deny | grep "ALL:" | wc -l' -eq 0 ]; then echo "참" else echo "거짓" fi 2. 문자열 비교 = 또는 == : 같다 != 같지 않다 -z : 문자열이 null 또는 길이가 0 -n : 문자열이 null이 아님 예) /root/t.. 2019. 11. 25.
[RHEL 공통] NAS 장비 umount 시 device busy가 발생 NAS(Network-Attached Storage) 장비를 umount 하는데 device busy가 발생하였습니다. device busy는 NAS 장비를 어떠한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는 fuser -k 옵션을 이용하여 사용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 fuser -k /마운트포인트 또는 디바이스명 또는 # lsof | grep "NS디바이스 마운트 영역" # kill PID 만약 현재 사용하고 있는 콘솔에서NAS장비에 명령을 준 후 fuser -k 명령을 준 후에 umount해도 디바이스가 해제되지 않는다면 접속한 콘솔을 종료하고 재접속하여 "umount /마운트포인트" 명령을 입력해 보기 바랍니다. DFS(Distributed File Systems-분산파일시스.. 2019. 11. 25.
[Application] 첨부 파일이 1MB 이하만 등록하도록 설정하기 첨부파일 등록 제한은 AP소스와 httpd.conf에서 제한하고 있습니다. 1MB 이하만 등록된다면 AP소스에 포함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서 제한을 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 Apache httpd.conf 설정 HTTPD_HOME/conf/httpd.conf 설정 파일에서 LimitRequestBody를 검색하여 값을 변경합니다. 1 LimitRequestBody 500000 cs 제한할 용량은 AP 소스에서 지정된 크기와 같거나 커야하며 숫자를 0으로 설정하면 첨부 파일 용량은 무제한으로 설정됩니다. 2. AP 소스 설정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AP소스에서 MaxFileSize 또는 FileUploadSize 등을 검색하여 설정이 되어 있다면 설정값을 변경합니다. 1 # find /.. 2019. 11. 25.